본문 바로가기
이슈

북한. 24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발사.

by 지식제작소장 2022. 3. 25.
반응형

북한 매체는 24일 평양 순안비행장에서 신형 ICBM(대륙간 탄도미사일) 화성 - 17형 시험발사가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 김정은 참관 신형 ICBM-17형 시험발사

김정은 위원장은 시험발사 전날(23일) 새로 개발된 ICBMj 발사관련 친필 명령서를 하달하고 어제 현장을 찾아 화성-17형 발사 전 과정을 참관했다. 

북한은 ICBM 발사가 주변 국가 안전을 고려해 정상 각도보다 많이 높여서 쏘는 고각 발사 방식으로 진행됐다며, 화성-17형은 최대 정점 고도 6,248.5km까지 상승해 1,090km의 거리를 4,052초간 비행해 동해상 예정 수역에 정확히 탄착 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발표는 우리 군 당국의 발표와 비슷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어제 북한 ICBM 고도는 6,200km 이상, 거리는 약 1,080km로 탐지됐다고 전했다. 

합참뉴스 1월28일 군 대응능력 준비태세 점검 사진 캡처

▶ '도발로 얻을 것 없다.' 군, ICBM에 '맞대응' 군사조치

25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전날 북한의 ICBM 발사와 관련해 '북한은 도발로 얻을 것은 아무것도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 당선인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서 '북한에 엄중하게 경고한다. 서해 수호의 날을 하루 앞둔 시점인 어제, 북한이 올해 들어 12번째 도발을 해왔다. 대한민국은 더욱 굳건한 안보태세를 갖춰 자유와 평화를 지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24일 오후 4시 25분부터 동해상에서 현무-Ⅱ 지대지미사일 1발, 전술용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인 에이태큼스(ATACMS) 1발, 해성-Ⅱ 함대지 미사일 1발, 고대지 합동직격탄(JDAM) 2발을 발사했다. 

네이버지식백과 현무미사일 사진 캡처

합참은 북한의 군사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면 발사 원점과 지휘, 지원시설 등을 정밀 타격할 능력과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군의 추가 발사에 대비해 감시, 경계를 격상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하게 공조하며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합참은 '북한군의 이번 발사는 국제사회에 약속한 ICBM 발사 유예를 스스로 파기한 것이며,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해치는 심각한 위협행위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경고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