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오후 6시경 LG 유플러스 인터넷과 가정용 TV 접속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했다가 6시 38분쯤 정상복구됐습니다. 같은날 오전 2시 56분쯤에도 접속장애가 발생했었습니다. 온라인 작업, 게임 도중에 갑작스러운 접속장애로 이용자가 피해를 봤고, 마트나 상점에서는 신용카드 결제가 일시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문제도 발생했습니다. 이같은 문제는 디도스공격에 의한 문제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용자 접속이 몰리는 시간대에 접속 불량
지난 29일 발생한 LG 유플러스 유선 인터넷 장애문제는 새벽3시경 약 19분, 오후 6시경 약 20분간 접속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접속장애가 발생하면서 일부 가정의 인터넷TV가 먹통이 되거나 끊기는 현상이 발생했고, 이용자가 몰리는 주말 저녁 시간대인 PC방에서는 항의를 받기도 했습니다.
특히 저녁시간대에 발생한 장애는 마트나 음식점에서 신용카드 결제가 되지 않아 혼란이 빚어졌습니다.
LG 유플러스 관계자는 '오후 6시경부터 디도스로 추정되는 대용량 트래픽이 발생해 일부 고객이 사용하는 유선 인터넷 서비스에 문제가 있었다. 현재는 복구된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이용자들은 새벽에 장애가 발생한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또다시 문제가 발생하면서 불편함을 겪어야 했습니다. 새벽에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는 공지도 내지 않아 불만은 더욱더 커졌습니다.
통신서비스 긴급복구 대응체계 지켜졌나? 보상은?
2년전 발생한 KT의 대규모 장애 사건으로 인해 통신 장애가 사회적 불편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고자 지난해 8월 통신 4사(SKT, KT, LGU+, SKB)와 함께 대대적인 '통신서비스 긴급복구 훈련'을 진행했습니다.
재난 와이파이 개방체계 구축, 소상공인 휴대전화 테더링 결제 지원, 통신사 간 무선망 상호백업체계 구축, 재난 로밍 개선 등 후속대책도 쏟아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장애가 발생했지만, 20분 안팎의 짧은 시간이기에 위의 조치들이 실행되지는 않았습니다. 아마 실행되기 전 정상 작동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짧은시간에 발생한 문제이기에 그에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장애 원인이 디도스로 추정하고 있을뿐, 정확하게 원인을 확인하고 있꼬, LG유플러스의 약관을 기준으로 볼 때, 이번 장애는 보상 범위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LGU+ 인터넷 서비스 약관의 손해배상 조항 '연속 2시간 이상 서비스를 제공 받지 못하거나 1개월 누적시간이 6시간을 초과할 경우'
KT에 이어 업계 2위의 인터넷 이용자를 보유한 LGU+ 의 이번 접속장애는 지난달 일부 가입자들의 탈취된 개인정보로 요금제가 고가 상품으로 임의 변경됐고, 이달 초에는 외부 해킹으로 고객 18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기도 했습니다.
이번문제의 원인과 보상대책에 대해서 어떻게 진행될지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례 보금자리론 대출 신청방법. (0) | 2023.02.03 |
---|---|
농구스타 김영희 별세. 향년 60세. 말단비대증(거인병). (0) | 2023.02.02 |
난방비 폭탄 피할 수 있나? 전기요금도 인상. 관리비 진짜 폭탄 떨어지나? (0) | 2023.01.31 |
30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의무 해제. 알아두어야 할점들은? (0) | 2023.01.30 |
화이트 카드는 뭐지?. 축구 심판에게 레드카드, 옐로우카드도 아닌 카드가있다? (0) | 2023.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