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2223명 기록. 거리두기 효과 없다? 전국 확진자 현황.

by 지식제작소장 2021. 8. 11.
반응형

코로나 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2223명을 기록 국내에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처음으로 2000명을 넘어섰습니다. 국내 2145명, 해외 유입 78명 발생해 지난해 1월 20일 코로나19 환자 발생 이후 확진자 수가 2000명을 넘었습니다. 

11일국내확진자현황
질병관리청 국내 일일확진자 현황 캡처.

8월 11일 지역별 신규 확진자 수 

  • 서울 650명
  • 경기 648명
  • 경남 139명
  • 부산 125명
  • 울산 48명
  • 대구 66명
  • 강원 19명
  • 경북 66명
  • 충북 54명
  • 대전 42명
  • 인천 107명
  • 광주 17명
  • 전남 16명
  • 전북 28명
  • 충남 84명
  • 제주 28명
  • 세종 8명

※ 수도권 확진자 1405명 65.5%, 비수도권 740명 34.5%

11일국내발생현황세부
누적 확진자 현황 및 해외 유입 환자 현황. 질병관리청 캡처
11일코로나19국내검사현황
일일 검사현황 및 신규확진자 및 세부 성별, 연령별 현황. 질병관리청 캡처

서울시에서 발생한 주요 집 단감 염지로는 서초구 소재 종교시설 관련 8명, 중랑구 소재 교육시설 관련 8명, 구로구 소재 직장 관련 6명, 서대문구 소재 실내체육시설 관련 5명, 기타 집단감염 38명, 기타 확진자 접촉 205명, 타 지역 확진자 접촉 15명,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 265명, 해외유입 확진자 11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방역 실패인가? 장기화된 고강도 거리두기에 따른 피로감이 문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확진자가 늘어남에 따라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고, 기존과 다른 더 강력한 방역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거리두기에 따른 피로감이 이미 클 대로 커진 상태로 자영업자의 천문학적 영업손실 보상도 제대로 되지 않는 현 상황에서 더 이상의 멈춤을 요청하기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나타는 현상이고, 장기화한 거리두기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되어 현상황의 수습이 어렵고, 휴가철을 통해 감염이 확산하고, 이 같은 감염 요인이 다시 지역사회로 복귀한 이들을 통해 2차, 3차 전파로 이어지고 있다고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진단했습니다. 

사실상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국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른국가처럼 셧다운을 진행하게 되면 경제가 마비되어 회복이 어렵고, 이대로 가면 늘어나는 확진자를 막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한국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극히 적은 재정 부담을 지면서 코로나 19 피해를 온전히 서민 경제에 떠맡겼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으나, 정부 재정을 더 투입해 서민경제를 뒷받침하고, 대신 방역 관리망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정부는 뚜렷한 대응을 보이지 못하는 형국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결국 코로나19 예측실패! 소극적인 대응이 부른 현 상황.

이렇게 장기화될것을 예측하지 못하고 소극적인 대응이 현상황을 만들었고, 앞으로의 대응이 더 어려워진 상태입니다. 

물론 큰 재정부담을 지면서 경제지원을 하였더라도 그에 따른 리스크는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부분에 있어서 정부와 국회에서도 적극적인 어필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재정부담을 키워 지원을 하게 되면 돈을 마음대로 뿌린다고, 국가재정이 늘어난다고 난리가 날것이고, 이미 추경이 진행될 때마다 국가부채를 운운하며 부정적인 시선이 더 많은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소극적인 자세로 대처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은 예측하지 못할 상황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이에 따른 대체할 수 있는 계획이 아쉬운 상황입니다. 국외적으로 신경 쓰기보단, 국내에 집중해 국내 문제에 대해 해결을 우선을 해야 할 상황에, 국내, 외의 상황에 더 신경 쓰다 두 마리의 토끼를 다 놓치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민심도, 국가의 안전에도 구멍이난 이상황을 어떻게 돌파를 해야 할지 고민해야 될 때입니다. 성급한 판단보다는 앞선 사례에 집중하며 좀 더 세밀한 계획이나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어떻게든 정치적으로 활용하려고 생각한다면, 좋은 결과는 단연코 없을 것이라고 자신합니다. 

11월까지 전 국민 백신접종으로 해외 다른 국가처럼 코로나와 공존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현재의 목표라고 밝힌 만큼, 기존의 목표에서의 문제점을 보안하고, 국민들에게 좀 더 자세한 목표나 진행 사항을 알려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지금 질병관리청에서 지속적으로 안내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